Research on the Need for Developing Racial Identity Model of Korean Counselor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ontemparary Society and Multiculture(2023)

引用 0|浏览0
暂无评分
摘要
한국에 다문화 소수자가 늘어나면서 다문화 상담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많은 상담자들은 인식과 태도 측면에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반면, 긴 다문화 사회의 역사를 가진 북미에서는 주류 인종인 백인 상담자와 다인종 내담자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인종 정체성을 다문화 상담 역량의 주요 요인으로 보고, 이를 상담자 발달에 활용해왔다. 본 연구는 북미에서 발달한 다양한 백인 정체성 모형들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적 상황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민족 상담자 정체성 모형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한국에서는 인종 차별에 더해 단일민족주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사회에서는 소수자에 대한 동등성 갈등보다 온정주의가 더 팽배하다. 셋째, 한국사회에서는 아직 주류 인종의 특권에 대한 인식이 미흡할 수 있다. 넷째, 한국에는 자민족 우월주의보다는 인종적 위계주의가 차별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한민족 정체성 모형의 개발은 향후 다문화 사회에서 한국인 상담자의 다문화 역량을 높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更多
查看译文
关键词
korean counselors,racial identity model,multicultural society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