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Fibular Repositioning Taping on Joint Angle and Joint Stiffness of the Lower Extremity in Sagittal Plane during a Drop Landing

semanticscholar(2022)

引用 0|浏览0
暂无评分
摘要
발목 부상은 스포츠 활동에 있어서 가장 흔한 근골격계 부상이다 (Delahunt, Cusack, Wilson & Doherty, 2013). 미국에서는 매일 약 28,000명에게 발목 손상이 발생하고, 특히 가쪽 발목 염좌(lateral ankle sprain: LAS)는 모든 스포츠 손상의 80%를 차지한다(Kobayashi & Gamada, 2014). 가쪽 발목 염좌는 발목의 인대와 발목 주변 신경, 근 육조직 등에 이상이 생기는 것으로 최초의 부상 이후 잔여 증상이 남 거나 재발되는 확률이 73%로 매우 높다(Kobayashi & Gamada, 2014; Theisen & Day, 2019). 계속해서 발목이 빠지는 느낌이 들거나 발목의 근력 약화, 고유수용성 저하, 신경근 장애 등의 증상이 초래되면 만성 발목 불안정성(chronic ankle instability: CAI)으로 이어진다(Delahunt et al., 2013; Jun, Choi & Chang, 2021). 만성 발목 불안정성은 적어도 1년 동안 불안정성을 호소하며, 초기 치료와 관계없이 약 10~30%의 급성 손상을 입은 환자들에게서 발생한다(Sarcon, Heyrani, Giza & Kreulen, 2019).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정상인에게 나타나지 않 는 구조적 또는 기능적 불안정성을 가진다(Kobayashi & Gamada, 2014; Sarcon et al., 2019). 구조적 불안정성은 인대, 뼈, 관절과 같은 구조물들 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Kim & Sung, 2018). 가쪽 발목 염좌는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021; 31(4): 276-282 http://dx.doi.org/10.5103/KJSB.2021.31.4.276 http://e-kjsb.org eISSN 2093-9752 ORIGINAL
更多
查看译文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