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파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성분분석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2012)

引用 1|浏览0
暂无评分
摘要
본 연구에서는 비파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및 추출물/분획의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파엽 추출물의 자유라디칼(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 $FSC_{50}$ )은 50 % 에탄올 추출물( $22.63{\mu}g/mL$ )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OSC_{50}$ , $0.75{\mu}g/mL$ ), 아글리콘 분획(0.79) 및 50 % 에탄올 추출물(1.61)에서 모두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파엽 추출물의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비파엽 추출물은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 $5{\sim}50{\mu}g/mL$ )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10{\mu}g/mL$ 농도에서 ${\tau}50$ 이 390.8 min, $50{\mu}g/mL$ 농도에서 ${\tau}50$ 이 1471.5 min으로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IC_50$ )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75.25{\mu}g/mL$ ) $74.1{\mu}g/mL$ ) $43.35{\mu}g/mL$ ) 순으로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보타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비파엽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TLC 분석 결과 7개의 띠(EJL 1 - EJL 7)가 나타났다. HPLC로 아글리콘 분획을 분석한 결과 kaempferol 및 quercetin이 각각 53.7 % 및 46.3 %였으며, 따라서 추출물 중에는 kaempferol 및 그 배당체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비파엽 추출물 또는 분획이 $^1O_2$ 및 다른 ROS를 소거 또는 소광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해서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로부터 비파엽 추출물 및 분획물은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inhibitory activity on tyrosinase, and active components of Eriobotrya japonica (E. japonica) leaf extract were investigated.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 $FSC_{50}$ ) of extract/fraction of E. japonica leaf was in the order 50 % ethanol extract ( $22.625{\mu}g/mL$ ) $OSC_{50}$ ) of fraction/extracton ROS generated in $Fe^{3+}-EDTA/H_2O_2$ system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assay were investigated. $OSC_{50}$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deglycosylated aglycone fraction, and ethanol extract were 0.75, 0.79, and $1.61{\mu}g/mL$ , respectively.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E. japonica leaf extract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fraction of E. japonica leaf were increased in a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 $5{\sim}50{\mu}g/mL$ ). Especially, ${\tau}50$ of ethyl acetate fraction at concentrations of $10{\mu}g/mL$ and $50{\mu}g/mL$ showed the most protective effects at 390.8 min and 1471.5 min. The inhibitory effect ( $IC_50$ ) on tyrosinase of E. japonica leaf extracts was higher than arbutin, known as a skin-whitening agent. The order of inhibitory effects was acetate fraction ( $75.25{\mu}g/mL$ )】
更多
查看译文
关键词
antioxidative effect,extracts,leaf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