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환자의 대퇴골 원위부 골절 수술 후 결과 및 불유합 위험 인자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2019)

引用 0|浏览0
暂无评分
摘要
목적: 유수의 해외 학술지에서는 고령의 대퇴골 원위부 골절의 결과를 보고해 왔으나 현 시점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대퇴골 원위부 골절의 결과를 분석한 논문은 극히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60세 이상 고령의 원위 대퇴골 원위부 골절 환자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 시행 후 결과 및 예후의 영향 인자를 조사하고 불유합과 관계된 위험 인자를 분석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2008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대퇴골 원위부 골절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제외 기준에 해당하는 121명을 제외한 후 총 52명의 환자가 연구에 등록되었다. 수술기록지를 포함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환자의 기저 질환, 골밀도, 수술 지연 일수, 합병증 병발 여부 및 사망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추시 방사선 검사를 통해 골유합, 지연유합, 불유합을 판단하였다. 결과: 골유합을 획득하기까지 평균 기간은 19.95주였으며 불유합의 비율은 20.0% (10/50), 사망률은 3.8% (2/52)였다. 인공관절 주위 골절 여부에 따른 임상 결과 및 방사선 결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인자 분석에서 불유합의 위험 인자로 유의한 결과값은 없었으나 다인자 분석에서 암의 유무가 불유합의 위험 인자로 유의하다고 확인되었다(p=0.045). 결론: 한국인의 고령의 대퇴골 원위부 골절 환자에서 불유합의 비율은 여전히 높지만 사망률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암이불유합의 영향 인자가 될 수 있으며 추후 이외 인자들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更多
查看译文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