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opulation Change and Projection in Korea Mountainous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2014)

引用 6|浏览1
暂无评分
摘要
이 연구는 코호트 변화율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산촌지역 인구변동의 특성을 분석하고 장래 산촌인구를 추계한 것이다. 분석대상이 되는 산촌은 산림청에서 지정한 산촌진흥지역으로, 산림면적 비율 70% 이상, 인구밀도 111인/$km^2$, 경지면적 비율 21% 이하인 읍 면으로 정의한다. 산촌의 인구변동 특성을 살펴보면 지난 20년 간 산촌 인구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노령화 지수는 상승하였다. 연령별로는 10~30대 젊은 층의 인구 유출이 많고 40대 이상 장년층의 유입이 증가하였다. 젊은 세대 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교육과 취업을 위해 도시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장년층 인구 증가는 귀농 귀촌에 대한 관심 증대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산촌인구는 2030년에 68만 명, 산촌의 노령화 지수는 1,035로 상승하여 국토의 균형 발전과 산림의 지속가능한 경영에 문제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산촌경제 활성화와 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change and makes the population projection in the mountainous area of Korea. Mountainous areas are defined as local towns (eup or myeon) with forest area more than 70 percent of land area, population density less than 111 people per square kilometer, and plowland area less than 21 percent of land area. The population in mountainous areas has decreased dramatically, while the ageing index has increased over the past two decades. To make the population projection, the cohort-change ratios method is appli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 multitude of young people aged 10 to 39 moved to cities to find education and job chance and some people aged 40 and over moved to mountainous areas as the trends of urban-to-rural migration. This continuing trend will culminate in 680 thousand people in population and 1,035 of ageing index in 2030, which will lead to the unequal land development and inefficient forest management. Thus, policy makers need to develop stimulus plans to revitalize and stabilize the economy of mountainous areas.
更多
查看译文
关键词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