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ietary Green Tea on Meat Qua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iler during Cold Storage

J.Y. Jeong, G.D. Kim, E.Y. Jung, Y.H. Hwang,S.H. Kim,K.H. Kang, Y.H. Choi, S.T. Joo,G.B. Park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2009)

引用 2|浏览7
暂无评分
摘要
본 실험은 녹차 산물의 수준을 달리하여 닭에게 급여한 후 계육의 육질과 저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반 성분 중 수분이 73.98~75.2%로 나타났으며 녹차 1%를 급여한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녹차 3% 급여한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았지만(P<0.05) 급여 수준에 따라서 특정 유형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조수분과 조회분의 함량은 녹차 급여에 따른 처리구들간의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그와는 상관없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일반적인 함량에 포함이 되므로 녹차 급여가 크게 육질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녹차를 급여하여 나타난 결과보다 개체들에 의한 차이로 인하여 나타난 결과이므로 녹차 급여가 육계 육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 계육의 저장성을 알아보기 위해 지방산패, 단백질 변성 및 총균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녹차에 따라서 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녹차산물 급여 시 천연 물질이 아주 미미하여 계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만약 녹차에 있는 특정물질들을 추출하여 축종들에게 급여 실험한다면 그 결과가 달라질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green tea on chicken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ntent. Broilers were fed one of the four dietary treatments containing 0, 0.5, 1 and 3 % green tea for 10 days. Crude moisture, crude fat, crude ash, pH, meat color (CIE $L^*$, $a^*$, $b^*$)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measured in chicken breast meat during cold-storage. Crude fa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reatments. Dietary green tea increased the amou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decreased that of saturated fatty acids in chicken meat, resulting in increased ratios of unsaturated fatty acids to saturated fatty acids. The amount of linoleic acid (18:2) and linolenic acid (18:3)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green tea. Lightness ($L^*$), pH, TBARS, VBN, and total plate cou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storage. Dietary green tea did not affect storage properties of chicken me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dietary with green tea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chicken meat quality.
更多
查看译文
关键词
tea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