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icacy of callus induced from Ullengdo niche plants for skin prote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2014)

引用 1|浏览1
暂无评分
摘要
세계 각국은 자국의 자생식물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 활용에 집중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자생식물을 활용한 화장품 원료 소재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유의 기후와 환경에 의해 울릉도 특유의 식물분포를 갖는 울릉도 자생식물 후보군을 선정하고 이를 소재로 개발하여 화장품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섬초롱, 술패랭이, 해국에서 캘러스를 유도하고 대량배양 하였다. 대량배양하여 얻은 울릉도 자생식물 캘러스를 열수 및 에탄올 추출하여 COX-2 발현 비교, collagen 합성능 측정, wound healing 등 다양한 효능을 시험하였다. HPLC 분석을 통하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유효성분에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효능평가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술패랭이, 해국 캘러스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항염 관련 단백질인 COX-2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모든 에탄올추출물은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상처 치유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울릉도 자생식물 캘러스 추출물이 자연친화적, 친환경적이며, 또한 국내 자생하는 식물을 활용한 소재로써 항염 및 상처치료 관련 제품에 기여할 것이다.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protected their native plants and utilized them as industrial materials in each country. In this aspect,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develop cosmetics materials using native plants in Korea. Cosmetic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with niche plants, such as Campanula takesimana Nakai, Dianthus superbus, Aster spathulifolius in Ullengdo, in which a specific plant distribution by distinct climate and environment was present. Water and ethanol extractions were performed from the calluses of Campanula takesimana Nakai, Dianthus superbus, Aster spathulifolius. HPLC analysis revealed different compositions and functions of effective elements in each ethanol extract. For example, all types of ethanol extracts showed an ability to heal wounds.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ion-related gene, COX-2, was decreased in response to the ethanol extracts of Dianthus superb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thanol extracts from niche plants' calluses in Ullengdo are natural and environmentally-friendly compounds, and can be used as medical supplies associated with anti-inflammation and wound healing.
更多
查看译文
关键词
plant cell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